본문 바로가기
정보

window defender 끄기 삭제 gpedit.msc

by 뚱땡쓰 2017. 6. 20.

window에서 defender의 끄기와 삭제를 gpedit msc에서 작업하는 방법



자동차를 보면 운전자와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숨은 장치들이 의외로 많은데, 운영체제도 자동차처럼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제목에 적어둔 것이죠. 그런데 의외로 window defender 끄기를 해주어야 할 순간도 많습니다.



리소스를 너무 차지한다는 것이 이유가 될 수도 있고, 따로 사용하는 백신이 있다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겠죠. 어쨌든 기능 해제를 하고 싶을 땐 방법을 알아야 하는데, 아래 gpedit.msc를 통해서 기능의 해제 및 삭제를 해주는 과정을 적었으니 혹시 필요했다면 읽어주세요!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르는 것입니다. 그럼 작업 표시줄 위에 작은 실행 화면이 열릴 거예요. 여기에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의 명령어를 적어주면 됩니다.





운영체제의 에디션 종류에 따라선 정책 편집기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땐 따로 설치를 해주면 됩니다. 검색해보면 관련 정보들이 수두룩하니, 실행 기능이 먹통일 때 정보들을 살펴보시면 될 것 같아요.





어쨌든, 편집기 화면을 열었다면 왼쪽의 탐색기 그룹에서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구성 요소 > 윈도우 디펜더]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자세한 경로와 클릭 위치는 이미지에 표시를 하겠습니다.





이제 오른쪽의 세부 내용에서 해제 항목을 찾고 더블클릭을 해주세요. 자세한 클릭 위치는 마찬가지로 이미지에 표시를 해두었으니, 확인하고 작업을 진행하시면 될 것 같아요.





더블클릭을 해서 추가 화면이 열리면 왼쪽 상단에 있는 사용을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주면 작업은 완료가 됩니다. 해제를 사용하는 것이니, 기능은 꺼지게 되는 것이죠.





여담으로 윈도우는 두 개의 백신이 구동하면 서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따로 백신을 준비하면 defender는 자연스레 비활성화 상태가 되죠. 고로 어차피 준비해야 할 백신이니, 성능이 좋은 종류를 따로 구해보는 것도 좋을 듯해요.



여담으로 window defender 삭제를 할 수는 있지만, 시스템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얘기한 window defender 끄기를 해주는 것 정도만 작업하는 것이 좋아요. 그럼 저는 여기서 물러나겠습니다.

댓글